이 책은 지금은 휴전선 너머 북한 땅이 된 작은 시골 마을의 기록입니다. 하지만 잊지 마세요. 불과 수십 년 전, 그곳은 분명 남한 땅이었고, 우리의 평범한 일상이 흐르던 삶의 터전이었습니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그 마을에서 피어난 따뜻한 삶의 풍경은 남한 전역, 즉 전라, 경상, 강원, 충청, 경기의 수많은 시골 마을들이 겪었던 희로애락과 꿈과 다름없습니다. 그곳은 단순히 한 마을의 이야기만이 아니라, 많은 마을들이 함께 겪었던 고통과 사랑, 그리고 시대의 변화 속에서 함께한 역사적 순간들을 온전히 담고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여전히 하나임을 잊지 말고, 그 시절의 깊은 역사와 기억을 함께 나누고 있다는 점을 되새겨야 합니다. 일제강점기의 어둠 속에서도 웃고 사랑하며 살아간 사람들, 삼일운동에 나섰던 평범한 마을 주민들의 뜨거운 용기, 그리고 전쟁으로 고향을 떠나야 했던 그날의 절절한 기억까지―이야기 하나하나가 단순한 회상이 아닌, 그 어떤 역사책보다 진실하고 생생한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이 책은 마을이 아닌, 그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함께 밥을 나누고, 놀이를 즐기고, 웃으며 하루하루를 살아낸 이들의 ‘진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마치 여행자가 들려주는 듯한 문장 속에는 지금은 갈 수 없지만 마음으로는 꼭 가보아야 할 마을의 풍경, 삼일운동의 한복판에 있었던 우리 이웃들의 이름 없는 용기, 즐겨던 음식과 간식, 그리고 우리가 놓치고 있던 또 다른 한국의 모습이 살아 숨 쉽니다.
이건 단지 과거의 기록이 아닙니다. 잊히기엔 너무 따뜻한 이야기이자, 오늘을 사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살아 있는 역사입니다. 그곳을 향한 발걸음은 멈췄지만, 기억은 지금 이 책 속에서 다시 걸어 나옵니다.
"Too Warm to Be Forgotten, Too Precious to Be Unknown"
This book is a record of a small rural village now located beyond the demilitarized zone in North Korea. But do not forget, just a few decades ago, this place was clearly part of South Korea, where ordinary daily life flowed. From the 1930s to the 1950s, the warm landscapes of life that blossomed in this village are no different from the joys, sorrows, dreams, and experiences of countless rural villages across South Korea, including Jeolla, Gyeongsang, Gangwon, Chungcheong, and Gyeonggi provinces. It is not just the story of one village, but rather the collective pain, love, and historical moments shared by many villages amidst the changes of the times. Today, we must remember that we are still one, and we should reflect on and share the deep history and memories of that era. In the dark days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ople lived with laughter and love, the courageous actions of ordinary vill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poignant memories of those who had to leave their homeland because of the war—all these stories are not mere recollections but come alive with truth and vivid resonance, more powerful than any history book.
This book is about people, not places. The "REAL" stories of those who shared meals, played together, and lived each day with laughter unfold within its pages. In the sentences, much like a traveler telling a story, you will find the scenery of a village that we can no longer visit but must feel in our hearts, the nameless courage of our neighbors who were at the heart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foods and snacks once enjoyed, and another side of Korea that we may have overlooked, all coming to life.
This is not just a record of the past. It is a story too warm to be forgotten, a living history that we must all understand as we live today. Though the footsteps toward that place have stopped, the memory walks out again in this book.
저자: 광덕면지 편찬위원회는 광덕면 면민회 산하 조직으로, 역사와 문화를 기록, 보존키 위해 1969년 면민회 시작과 함께 운영되었고 1972년 기반을 마련하였다.
Author: The Kwangdeok-myeon Historical Record Compilation Committee, operating under the Kwangdeok-myeon Resident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969 to record and preserve the region’s history and culture. Its foundation was solidified in 1972.
편집자: 변민호, 변근호, 변운주, 변종호
Editors: Minho Joe Byun, Keunho Daniel Byun, Woonjoo Jeannie Byun, Jongho Byun
지도: 변희풍
Mentor: Heepung Byun